본문 바로가기
Python

2. Python - 출력

by 짱냐옹이 2021. 9. 14.
반응형

1) 표준출력 

 

: 값을 모니터로 출력 또는 전송하는 개념

 

print( ) 를 써서 결과 값을 출력한다. (표준출력을 수행하는 함수)
               문자(string,정수, 실수, 연산값 모두 출력가능)

,  (쉼표) 를 써서 두개 이상 값을 출력 가능

 

예시)
▼ 여기서 '#' 은 출력값을 주석으로 메모처럼 적기위해 붙인거라 무시하시면 됩니다.
"sep=" 인자는 다중 출력시 구분자를 지정하는  인자로 밑에 설명 따로 나옵니다.

print( "GodNyaong" ) 
#출력값 >> GodNyaong 

print( 'GodNyaong' ) 
#출력값 >> GodNyaong 

print( 20 ) 
#출력값 >> 20 

print( 2.2 ) 
#출력값 >> 2.2 

print( -20 ) 
#출력값 >> -20 

print( -20*20 ) 
#출력값 >> -400 

print( 34 , 25, "nyang") 
#출력값 >> 32 25 nyang 

print( 213 , 44, "nyang", sep="-") 
#출력값 >> 213-44-nyang

 

2) 주석 (comment) 

 

: 코드가 아닌 메모 또는 주석을 기입 하는 기능

 

#  뒤에 값은 코드로 인식 X 

 

예시)

print( "GodNyaong" ) #냐옹이신 
#출력값 >> GodNyaong


3) String 문자열 입력

 

: 문자값을 입력

 

" " , 혹은 ' ' 사용
출력값에  " , ' 를 나타내고 싶으면 "  " 안에  '  를 넣거나   '   '  안에 " 를 넣으면 출력가능

 

예시)

print( "God'Nyaong" ) 
#출력값 >> God'Nyaong 

print( "'GodNyaong'" ) 
#출력값 >> 'GodNyaong' 

print( ' "GodNyaong" ' ) 
#출력값 >> "GodNyaong"


5) 삼중부호 (""",''') 코드 블럭 설정

 

'''  ''' , """  """ 삼중부호를 이용한 코드 블럭설정 (줄바꿈 가능)

 

예시)

print( """God 
Nyaong""") 
#출력값 >> 
God 
Nyaong


6) 제어 문자/ 구분자,종료자


: 출력을 제어하는 문자

 

- 개행(newline)(줄바꿈) : \n (백슬래시n)
- 탭 (tab): \t
- 구분자 sep= : 다중 출력시 구분하는 인자
- 종료자 end= : 출력 후 제어 하는 인자 (줄바꿈 없이 표현가능)
- 구분자에도 제어문자를 사용가능
- '\' 자체를 표기하고 싶으면 앞에 한번더 '\' 를 삽입하면 출력가능

 

※ '백슬래시'가 안보이시는 분은 엔터키 위에 '₩'누르시면 똑같은 역할 (한글키보드면 안보임)  
'백슬래시' 표시를 보고 싶다면 폰트를 영문 폰트로 바꾸면 보임  
주피터 노트북 폰트 변환은 나중에 포스팅 하겠습니다.

 

예제)

print("nyaong\nnyang") 
# 출력값 >> 
# nyaong 
# nyang 

print("nyaong\\nnyang") 
# 출력값 >> 
# nyaong\nnyang 

print("nyaong\"nyang") 
# 출력값 >> 
# nyaong"nyang 

print("nyaong","nyang",sep="\\") 
# 출력값 >> 
# nyaong\nyang 

print("nyaong\tnyang") 
# 출력값 >> 
# nyaong nyang 

print("nyaong","nyang","meeyaong",sep="\n") 
# 출력값 >> 
# nyaong 
# nyang 
# meeyaong 

print("nyaong","nyang","meeyaong",sep="\t") 
# 출력값 >> 
# nyaong nyang meeyaong 

print("nyaong") 
print("nyang") 
print("meeyaong") 
# 출력값 >> 
# nyaong 
# nyang 
# meeyaong 

print("nyaong",end="-") 
print("nyang",end="?") 
print("meeyaong") 
# 출력값 >> 
# nyaong-nyang?meeyaong



7) 변환자

 

- int( ) : 정수로 변환 (실수,불린(참거짓), 문자열(문자형식으로 저장된 숫자)을 정수로 변환)
: 실수는 반올림 x 버림 o
: 일반 문자열은 변환 x
: 몇몇 제한된 문자는 진수 변환인자 사용하여 정수변환 가능
(변환인자 base= N : N진수 )
- float( ) : 실수로 변환
- str( ) : 문자열로 변환, print() 에서는 기본적으로 문자로 변환됨
- bool( ) : 불린값으로 변환 (True, False)
: 0, 빈문자열 은 False
: 1, 1개 이상 문자 존재시 True

 

예시)

print(int(5.125)) 
# 출력값 >> 5 

print(int(5.825)) 
# 출력값 >> 5 

print(int(True)) 
# 출력값 >> 1 

print(int(False)) 
# 출력값 >> 0 

print(int("250")) 
# 출력값 >> 250 

print(int("A",base=16)) 
# 출력값 >> 10 

print(float(10)) 
# 출력값 >> 10.0 

x=10 
y=5 
print(x+y) 
# 출력값 >> 15 

x=str(10) 
y=str(5) 
print(x+y) 
# 출력값 >> 105

 

※ 위에 변수 지정 (x=10, y=5) 내용이 있는데 이것도 다음챕터에 따로 다루겠습니다.
간단사칙연산 +,- 도 다음 챕터에 나옵니다.

 

반응형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. Python - 제어문 (조건문, 반복문)  (0) 2021.09.17
5. Python - 입출력  (0) 2021.09.16
4. Python - 변수  (0) 2021.09.15
3. Python - 연산자  (0) 2021.09.14
1. Python - Jupyter notebook (anaconda) download  (0) 2021.09.13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