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파이썬을 이용한 사칙연산
+ (덧셈)
- (뺄셈)
* (곱셈)
/ (나눗셈)
// (몫)
% (나머지)
** (제곱)
※ 연산의 우선순위는 괄호를 이용해서 처리
예시)
# 정수 타입의 데이터에 대하여 산술 연산이 가능합니다.
print(1+1)
print(1.1+1)
# ^--- 연산자와 피연산자 사이의 공백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.
print(1-1)
print(3*3)
print(7/3)
# 몫 연산자
print(7 // 3)
# 나머지 연산자
print(7 % 3)
# 승수 연산자(거듭제곱)
print(2*2*2*2*2*2*2*2*2*2)
print (2**10)
결과값)
2
2.1
0
9
2.3333333333333335
2
1
1024
1024
8
2. 지수표기법
Aen (A*10^n)
Ae-n (A*10^-n)
* 지수 표기법 사용 시 , 0의 갯수가 많아지게 되면 표기법 그대로 출력됩니다.(e15기준,e-4기준)
예시)
# 과학적 표기법 ( 지수 표기법)
print(30000000000)
print(3*10**10)
print(3e10)
print(5.25e5)
print(5.25e-2)
# 소수를 표현할 경우, 음수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
print(0.0001)
print(2e-4)
print(1.025*1e1)
# 지수 표기법 사용 시 , 0의 갯수가 많아지게 되면 표기법 그대로 출력됩니다.(e15기준,e-4기준)
print(3e100)
print(3e15)
print(3e16)
print(1.025*1e-4)
print(1.025*1e-5)
print(1.025*1e-100)
결과값)
30000000000
30000000000
30000000000.0
525000.0
0.0525
0.0001
0.0002
10.25
3e+100
3000000000000000.0
3e+16
0.0001025
1.025e-05
1.025e-100
3. 진수 표현
일반적으로 숫자는 10진수로 표현
접두어를 사용하여 진수 변환
0b : 2진수
0o : 8진수
0x : 16진수
※ 16 진수 표현에서 10 이상부터는 알파벳으로 사용 (대소문자 구분 x)
(1, 2, 3, ... , 9, A, B, C, D, E, F )
예시)
# 10진수 이외의 표현
print("10진수")
print(10)
print(17)
# 2진수 : 접두어 0b(binary)
print("2진수")
print(0b1010)
print(0b10001)
# 8진수: 접두어 0o (octal)
print("8진수")
print(0o12)
print(0o21)
# 16진수 : 접두어 0x(hex) 1~9, A(10) ~ F(15) # 알파벳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.
print("16진수")
print(0xA)
print(0x11)
print(10+0b1010+0o12+0xA)
# 숫자를 각 진법에 따라 표현할 경우 함수 사용 bin(),oct(), hex()
결과값)
10진수
10
17
2진수
10
17
8진수
10
17
16진수
10
17
40
4. 비교 연산자
> (보다 큼)
< (보다 작음)
>= (크거나 같음)
<= (작거나 같음)
== (같음)
=! (같지않음)
※비교연산자의 결과는 불린값으로 표현 할 수 있다
예시)
# 불린형 (boolean)
# 거짓 : 0, 참 : 0 이외의 모든 수 -> 그 중 1을 대푯값으로 결정
# 파이썬에서는 참과 거짓을 표현하기 위해 수가 아닌 토큰 (단어) 를 사용합니다.
# 거짓 : false >>> 내부적으로 0
# 참 : true >>> 내부적으로 1
print(10>3)
print(10<3)
print(True +True)
print(True+False)
# 불린 값은 비교 연산의 결과로 사용됩니다.
# 비교 연산자
print(10>3)
print(10<3)
print(10>=3)
print(10<=3)
print(10==3)#같음
print(10!=3) # 같지않음
결과값)
True
False
2
1
True
False
True
False
False
True
5. 논리 연산자
and 논리곱 연산자 (양쪽의 피연산자가 모두 참인 경우에만 참)
or 논리합 연산자 (하나의 피연산자만 참이어도 참)
not 부정 연산자 (반전)
예시)
# 논리 연산자
# 1. and 연산 : 논리곱 연산자
# 양쪽의 피연산자가 모두 참인경우에만 참, 나머지는 모두 거짓
print( True and True) #1*1=1
print( True and False) #1*0=0
print( False and True)
print( False and False)
# 2. or 연산 : 논리합 연산자
# 둘 중 하나의 피연산자가 참인경우 참
print( True or True) #1+1=2
print( True or False) #1+0=1
print( False or True)
print( False or False)
# 3. not 연산 : 부정 연산자 -> 반전
print( not True)
print(not False)
# 비교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논리 연산자의 우선순위보다 높음
print((3 < 0 ) and ((-5 > 0 ) and (1> 5)))
print((3 > 0 ) or ((-5 > 0 ) and (1 >5)))
print(((3 > 0 ) or (-5 > 0 )) and ((4 > 8 ) or ( 3<0)))
결과값)
True
False
False
False
True
True
True
False
False
True
False
True
False
반응형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Python - 제어문 (조건문, 반복문) (0) | 2021.09.17 |
---|---|
5. Python - 입출력 (0) | 2021.09.16 |
4. Python - 변수 (0) | 2021.09.15 |
2. Python - 출력 (0) | 2021.09.14 |
1. Python - Jupyter notebook (anaconda) download (0) | 2021.09.13 |
댓글